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문화유산회복재단, 문화재 환수 운동 지속성 모색

기사승인 2019.03.28  07:30:00

공유
default_news_ad2

[앵커]

문화유산회복재단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향후 과제와 전략을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문화재 반환운동은 역사적 가치와 이야기를 찾는 작업이라며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한 자료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이동근 기잡니다.
------------------------------
[리포트]
한국전쟁 당시 무단 반출됐지만 소유자 기증으로 65년 만에 설악산 품으로 돌아온 신흥사 경판.

최근 전해진 소식은 문화재반환운동의 지향점이지만 여전히 해외반출 문화재들이 17만 2천여 점으로 추산되며 환수문제는 시대적 화두로 지속되고 있습니다.

불교계와 시민단체 등 문화의병으로 구성된 문화유산회복재단이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과제와 비전을 모색했습니다.

이상근 이사장은 문화재 환수운동의 역사를 살펴보며 유산 속에 담긴 이야기를 찾는 일이 회복 운동의 중점 가치라고 주장했습니다.

단순히 몇 점의 문화재가 반환됐다는 수치의 이슈가 아닌 문화유산의 진실 발굴과 공감 확산이 우선이라며 회복운동의 민간참여와 향유권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상근/ 문화유산회복재단 이사장
(역사의 정의를 확립하는 문제로써 굉장히 중요한 아젠다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사회는 문화재반환에 대해서 충분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재를 인권적 개념으로 보고 가치를 재발견해야 합니다.)

문화재 환수운동은 당위성을 넘어 지속가능한 의제임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특정유물과 시기에 매몰된 것이 아닌 국제사회 아젠다로 주도해 공공외교영역으로 확장하고 과거 식민지 국가들의 입장이 반영된 국제원칙과 협약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상근/ 문화유산회복재단 이사장
(주로 유럽과 미국 간에 문화재 불법거래를 예방하거나 돌려달라는 것에 국한됐고 식민지 독립국가, 약 190개국의 입장은 충분히 반영돼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국대 조의연 교수는 문화재 환수의 일환으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제안했습니다.

국가기관이 공개한 문화재 환수 관련 정보는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며 개방과 공유의 가치가 문화유산회복의 본질인 만큼, 유물의 3D 모델링과 이미지 자료의 시각화, 디지털 출판 등 환수운동 세부작업과 걸어온 길을 데이터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의연/ 동국대 교수
(문화유산회복 과정이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실행단계로 들어간다면 앞으로 10년의 중점적 과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세미나는 문화유산의 궁극적 가치는 물론 환수운동의 방향성과 전략을 모색하는 시간이 됐습니다.

BTN 뉴스 이동근입니다.

이동근 기자 btnnews@btn.co.kr

<저작권자 © BTN불교TV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nd_ad5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nd_ad3

최신기사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뉴스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