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성철스님 열반 30주기 <선림고경총서> 37권 e북 제작 등

기사승인 2023.09.27  07:30:00

공유
default_news_ad2

〔앵커〕

오는 11월 3일은 퇴옹당 성철 대종사 열반 3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백련불교문화재단이 성철스님 열반 30주기를 맞아 다채로운 추모행사 계획을 밝혔습니다. 정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산은 산이오. 물은 물이로다’

백련불교문화재단이 스님 열반 30주기를 맞아 다양한 형태의 추모행사를 준비했습니다.

성철스님은 선불교 수행전통으로 여겨지던 지눌국사의 ‘돈오점수’를 반대하며 ‘돈오돈수’를 주창했는데 현재까지도 불교 철학계는 이 부분에 대해 활발하게 논쟁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이에 오는 10월 1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성철스님의 불교 인식과 현대적 작용’을 주제로 원로 교수와 중진학자 등 6명이 발표하는 학술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영산대 박태원 교수는 ‘퇴옹은 왜 돈오점수를 비판했을까?’를, 연세대 신규탁 교수는 ‘성철 선사의 선문헌 속에 인용된 경전과 어록’을 주제로, 김광식 동국대 교수는 ‘성철 법맥의 재인식’을 발표합니다. 

이어 동의대 강경구 교수는 ‘<선문정로> 문장 인용을 통해 본 성철선의 특징’을, 김응철 중앙승가대 교수는 ‘성철스님의 수좌형 리더십과 사회적 영향력 분석’, 김명우 동아대 교수는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성철의 팔식설 고찰’을 발표합니다.

권기현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장
( 오셔서 좀 더 자세히 들으시면 조금 더 성철스님에 관한 생애와 사상에 관해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그런 내용적 분석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학술세미나에 앞서 제6회 퇴옹학술상 시상식도 열립니다.

올해는 교리 부문에 <마하빠자빠띠의 출가와 비구니 교단의 성립>이란 논문을 쓴 동학사승가대학 교수사 도민스님과 응용부문에 <현재 심사정 필 보납도 연구> 논문을 발표한 신광희 중앙승가대 연구교수가 수상합니다.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택스님은 성철스님의 정신이 그대로 담겨 있는 <선림고경총서> 전권을 좀 더 많은 이들이 접할 수 있도록 E-북으로 제작해 무료 배포 한다고 밝혔습니다.

원택스님 /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 그러니까 스님께서 한참을 째려보시더니 짜식 오늘은 그럴듯한 말을 하네. 이러면서 탄생한 것이<선림고경총서> 37권입니다. )

오는 10월 28일부터 열반 30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성철스님 사리탑전에서 3천 배를 시작하고 백련암 고심원에서는 10월 30일부터 입적일인 11월 3일까지 4일 4야 4만 8천배 참회법회를 진행합니다.

11월 3일에는 백련암 법회 회향에 이어 성철스님 사리탑에서 성철대종사 열반 30주기 헌공다례를, 해인사 대적광전에서는 추모다례를 봉행합니다.

BTN불교TV에서는 스님에 얽힌 이야기들과 30주기 행사 등을 종합적으로 담아낸 특집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연말특집방송으로 방송할 예정입니다. 

BTN 뉴스 정준호입니다.
 

정준호 기자 btnnews@btn.co.kr

<저작권자 © BTN불교TV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nd_ad5
기사 댓글 1
전체보기
default_news_ad4
default_nd_ad3

최신기사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뉴스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